오프라인 공간으로 고객을 유입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세우고 있는데요. 용산에 위치한 아이파크몰은 '덕후💘'를 겨냥해 특정 타겟 고객을 중심으로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고 있어요. 특정 캐릭터나 게임을 좋아하는 덕후 고객이 즐길 수 있는 볼거리와 팝업 등을 운영하며 유통업계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면이 굉장히 재미있어요😋 |
|
|
오늘의 뉴스 요약
📌아이파크몰, '덕후' 성지로 떠오른 이유
📌세분화된 취향, 나노 트렌드가 만든 새로운 소비 패턴
📌10월 유통 매출, 온라인 서비스와 식품이 주도
📌K급식, 베트남을 넘어 유럽·美까지
📌딸기 출하 지연, 가격 상승을 부추기다 |
|
|
아이파크몰 용산점은 ‘덕후 성지’라는 지역 특성을 활용한 리브랜딩과 차별화된 콘텐츠 기획으로 31개월 연속 매출 신장을 기록했다. 기존 백화점의 VIP 중심 전략에서 벗어나 젊은 층과 취미 기반 소비자를 겨냥한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며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게임, 캐릭터, 캠핑 등 마니아층을 겨냥한 팝업과 유튜버 협업, 빠델 구장 등 이색 콘텐츠가 흥행에 성공하며 오프라인 유통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ㅣ출처 : 중앙일보 |
|
|
🛍️세분화된 취향, 나노 트렌드가 만든 새로운 소비 패턴 |
|
|
식음료업계가 소비자의 세분화된 취향을 반영하는 '나노 트렌드'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다. MZ세대는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고자 제품에 개인적인 취향을 더하는 '토핑 경제'와 '모디슈머' 등 새로운 소비 방식을 선호한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다양한 토핑 조합이나 맞춤형 제품을 출시하며, 소비자 참여를 유도해 브랜드 경험을 공동 창작하는 시대를 열고 있다.ㅣ출처: 이투데이뉴스 |
|
|
🥨10월 유통 매출, 온라인 서비스와 식품이 주도 |
|
|
10월 유통업체 매출이 전년 대비 6.7% 증가했으며, 온라인 매출이 13.9% 늘어나 여행·배달 수요가 성장을 이끌었다. 이상기온과 소비심리 위축으로 백화점(-2.6%)과 대형마트(-3.4%) 매출은 감소했지만, 편의점(3.7%)과 준대규모점포(7.1%)는 성장세를 보였다. 서비스와 식품 매출은 증가한 반면, 가전·패션·문화 분야는 해외직구 확산의 영향으로 감소했다.ㅣ출처: 동아일보 |
|
|
삼성웰스토리는 K푸드의 인기에 힘입어 베트남에 이어 유럽과 미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최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 법인을 설립하고 삼성SDI 공장에 급식을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현지 업체와 경쟁에서 승리했다. 해외 매출은 증가세를 보이며, 2033년까지 글로벌 식음 리더로 도약할 계획이다.ㅣ출처: 매일경제 |
|
|
기후 변화로 딸기 출하 시기가 지난해보다 1주 늦어지며 대형마트의 딸기 판매 시즌도 지연됐다. 초기 물량 부족으로 가격이 상승해, 11월 넷째 주 설향딸기 평균 도매가는 전년 대비 23.9% 올랐고, 소매가도 1000원가량 인상됐다. 12월부터 출하 면적이 늘어나면서 딸기 가격이 점차 안정될 것으로 전망된다.ㅣ출처: 동아일보 |
|
|
✏️2025년은 어떻게 준비하지? F&B 인사이트 교육 ▼ |
|
|
월간 식재료 12월! 흑백요리사에서 고기깡패로 눈에 띄는 활약을 보여준 데이비드 리 셰프가 들려주는 고기 메뉴 개발의 핵심!! |
|
|
F&B 트렌드를 보는 사람들의 진지한 2025년 트렌드 이야기 ! |
|
|
인사이트플랫폼 info@insightplatform.co.kr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11길 22, 6층 / 02-545-7620
|
|
|
|
|